동절기 재해예방 대책
페이지 정보
작성자 관리자 작성일03-12-22 22:54 조회2,089회 댓글0건관련링크
본문
동절기 재해예방 대책
□ 개 요
ㅇ 동절기에는 폭설과 혹한으로 인한 전도, 추락, 동파, 질식, 화재, 붕괴 및 건강
장해 등이 많이 발생하는 시기로 12월부터 다음해인 2월까지를 3대 취약시기인
동절기로 분류하여 사업장의 근로자들이 사고위험으로부터 많이 노출된 시기
입니다
□ 주요위험요인 및 재해예방대책
<폭설 및 결빙방지대책>
ㅇ 겨울철에는 많은 눈이 내릴 경우 적설량이 많아질수록 눈의 밀도와 무게는 매우
커지게 되므로 시설물 붕괴재해예방을 위한 안전시공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
(예, 100㎡넓이의 지붕에 적설량이 1.5m일 경우 눈이 쌓일 경우 눈의 무게는
30ton임)
ㅇ 사업장 바닥의 요철부분을 정비하고, 급경사지역에는 모래함 또는 염화칼슘함을
설치하고 항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며 사다리, 계단 등 작업통로에서 근로자가
눈과 결빙으로 인한 전도, 추락의 우려가 있으므로 작업전 점검을 실시하여 결빙
부위 및 눈을 신속히 제거하거나 모래, 부직포 등 미끄럼 방지조치를 한후 위험
표지판을 설치하여 전도 및 추락재해를 예방한다
- 또한 동결로 인한 토석의 붕괴·낙하가 발생할수 있는 장소에는 방책 등 방호
시설 및 출입금지 조치 등 표지판을 설치한다
<화재 예방대책>
ㅇ 사무실, 숙소, 창고 등의 난방기구, 전열기 상태 등을 점검하고 인화물질, 화기
작업 주변에는 소화기, 방화사 등 진화장비를 비치하고 화재예방교육을 통하여
소화기 사용방법 및 화재발생시의 대피요령 등을 숙지시킨다
- 또한 난방용 전열기의 사용은 승인된 제품 사용 및 문어발식 코드사용을
금지하고 난방용 유류는 난방기가 켜진 상태에서 주유를 절대 금지 및 난방
기구 주변에는 유류 및 가연성물질들이 방치되지 않도록 정리하고 주위에
소화기를 비치한다
ㅇ 특히 전기로 인한 화재는 전기가 발화원이 되어 발생한 화재로 주로 전로나
전기기기의 이상과열, 누전 또는 정전기 스파크에 의해 주로 발생한다 또한
전류의 양에 따라 순간적으로 큰 전류가 흐르면 단락점이 녹아 단선되며 이 때
발생하는 불꽃으로 절연피복 또는 그 주위의 가연성물질에 착화될 가능성이
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고 전선의 허용전류에 적합한 퓨즈사용, 부하전로에
적당한 차단용량으로 선정된 배선용차단기(MCCB)를 설치한다
ㅇ 전선은 전기용품 안전관리법에 의한 적합한 규격전선을 사용용도에 알맞게
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비닐연전선을 옥내 배선으로 사용해서는 안된다
- 아무리 숙련된 기술자라 하더라도 전원 스위치를 넣어놓은 채 작업을 해서는
안되며 주위공간에 인화성 가스가 있을 경우 순간적인 합선으로 인한 불꽃이
폭발로 이어져 화재가 발생할 수 있어 퓨즈, 누전차단기로 전원을 차단하는
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이와는 별도로 배전반에서는 누전화재를 방지하기
위해서 누전화재 경보기를 설치해야 하며, 이 경보기는 50mA정도의 누전
전류에 경보를 발해야 한다
<화재 발생시 소화방법>
ㅇ 화재발생시 응급상황에서 초기소화는 상당히 중요하다 초기 소화가 잘 이루어
지면 초기소화에서 화재를 잠재울 수 있으나 그렇지 못할 경우 인적, 물적
손해는 막대하므로 항상 초기소화 요령에 대한 일반적인 지식을 숙지하여야
한다
① 소화작업은 침착하게 진행한다 소화작업에 임하는 대원은 무계획적으로
행동하지 말고, 우선 화재현장의 상황을 정확히 판단한 후 신속하고 침착하게
행동해야 한다.
② 소화작업은 가능한 한 화점 가깝게 접근하여 불꽃을 중앙에 두고 포위하여
사방에서 동원 가능한 소화기구 또는 시설을 최대한 활용하여 집중적으로
소화작업을 행해야 하며, 작업의 순서는 불이 타고 있는 아래 부분부터 끈 후
윗부분을 끄도록 한다.
③ 불길을 잡을 수 없을 때에는 다른 장소로 한걸음씩 후퇴하면서 화재가 더
이상 확대되지 않도록 연소방지에 주력한다.
④ 화재현장 주위의 불길이 옮겨 붙을 우려가 있는 가연성 물질은 급히 제거한다.
<한랭환경에서의 유해요인>
ㅇ 한랭작업이 인체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으로는 저체온증, 동상, 동창, 백랍증,
고혈압, 심장질환, 한랭 알레르기, 요통, 치질 등이 있다.
① 저체온증 장시간 한랭환경에 신체를 노출하면 몸의 기온이 떨어져 저체온
현상이 일어난다. 저체온이라함은 35℃이하로 되는 것을 말한다
② 동상 피부직 심부의 온도가 10℃에 달하면 조직의 표면이 동결되며, 피부,
근육, 혈관, 신경 등이 손상을 받는 증상을 말한다. 동상은 손가락, 발까락,
귀, 코 등에 자주 발생한다.
③ 동창 보온이 불충분하거나 심한 저온이 아니더라도 추위에 반복해서 노출
되면 손가락, 팔, 다리 부분에 가려운 동창이 부분적으로 생기며, 수일
후에는 자연적으로 없어지는 경우가 많다.④ 백랍병 한랭환경에서 장시간
전기톱 등 진동유발 기계공구를 사용시 그 진동이 손가락 혈관의 신경에
작용하여 저리고 아픈 증상을 나타낸다. ⑤ 고혈압 등 순환기능 장해 심장
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이 난방이 잘된 곳에서 갑자기 추운 장소로 나오면
증상이 악화되며, 기온하강의 영향으로 고혈압, 뇌졸중, 심근경색증 등의
질병이 많아진다.
<한랭환경에서의 안전대책>
ㅇ 한랭환경에 의한 장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난방, 운동성과 보온성·
통기성을 겸비하고 더구나 작업성능을 저해하지 않는 방한복의 착용 등이 필요
하고 다음의 한랭작업시 건강관리 수칙을 준수한다.
①과다한 음주와 흡연을 피한다.
②구두(안전화)와 장갑은 약간 큰 것을 착용한다.
③젖은 양말이나 장갑은 사용하지 않는다.
④과로를 피하고 충분한 영양을 섭취한다.
⑤하루에 한 번 이상 손·발을 깨끗이 닦고 말린다.
⑥가능한 물이나 눈속에 있지 않는다.
⑦가능한 발과 다리를 움직여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한다.
⑧두꺼운 양말이나 장갑 한겹을 착용하는 것보다 얇은 것 두겹을 착용토록 한다.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